항해로운 항가위를 맞이하였다. 오지게 node 강의 듣자@@@@

Express - Routing.

같은 도메인 주소지만 url 주소의 뒷부분인 path 정보에 따라 다른 결과가 보여지게 하는 것이다.
https://spartacodingclub.kr/online/webplus       https://spartacodingclub.kr/portfolio

 

스파르타코딩클럽 [웹개발 플러스]

로그인, 지도, 소셜미디어 만들기

spartacodingclub.kr

app.get('/', (req, res) => {
  res.send('Hello World!')
})
app.get('/hi', (req, res) => {
  res.send('Hi. This is express router')
})

라우터객체 사용하기.

const express = require('express')
const app = express()
const port = 3000

const goodsRouter = require('./routes/goods')
const userRouter = require('./routes/user')

app.use('/goods', goodsRouter)
app.use('/user', userRouter)

// app.get('/goods/list', (req, res) => {
//     res.send('상품 목록 페이지')
//   })
  
//   app.get('/goods/detail', (req, res) => {
//     res.send('상품 상세 페이지')
//   })
  
//   app.get('/user/login', (req, res) => {
//     res.send('로그인 페이지')
//   })
  
//   app.get('/user/register', (req, res) => {
//     res.send('회원가입 페이지')
//   })

app.listen(port, () => {
  console.log(`listening at http://localhost:${port}`)
})

바로 위 예시에서 모든 라우팅을 한페이지에 쭉 나열한다면 가독성도 엄청 떨어지고 정말 어지럽게 될 것이다.

그래서 라우터를 이용하여

var express = require('express');
var router = express.Router();

  router.get('/login', (req, res) => {
    res.send('로그인 페이지')
  })
  
  router.get('/register', (req, res) => {
    res.send('회원가입 페이지')
  })

module.exports = router;
var express = require('express');
var router = express.Router();

router.get('/list', function (req, res, next) {
    res.send('Router 상품 목록 페이지')
});

router.get('/detail', function (req, res, next) {
    res.send('Router 상품 상세 페이지')
});

module.exports = router;

user.js goods.js 와 같은 형태로 나누어서 처리를 하면 깔끔해진다.

 

미들웨어.
유저 인증과 같은 반복되는 작업들, 혹은 우리가 정의한 route에 오기 전에 중간에서 미리 처리해야할 것들을 정의해둔 것을 미들웨어라고 한다.

const express = require('express');
const app = express();

app.use((req, res, next) => {
  console.log(req);
  next();
});

app.get('/', (req, res, next) => {
  res.send('Welcome Home');
});

app.listen(3000);

이런 코드가 있다면 중간에 app.use 라고 하는 것이 미들웨어를 쓰겠다. 라는 것이다. 저 코드를 사용하면 어떤 요청이 들어오던 간에 req를 로그로 찍고 나서 실제 route로 전달되게 된다.
그 후에 next()를 실행해 다음 미들웨어로 순차적으로 진행된다.

이런식으로 들어온 요청은 우리가 설정한 미들웨어를 통과하고 중간에 응답을 해서 종료가 되거나 아니면 다음 미들웨어가 있는 경우에는 다음 미들웨어로 넘어간다.

 

express.json() , express.urlencoded()

우리는 웹서버에 요청할 때 단순히 url 외에 추가적인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다. POST 메서드의 body 정보가 그것이다. 이것을 express 에서 사용하려면 복잡한 절차가 필요하게 된다. 이 데이터를 바로 사용하기 쉽게 가공해주는 미들웨어가 바로 이 express.json()이다.
- POST메서드의 정보들을 절차에 맞게 쉽게 가공하는 미들웨어 -

app.use(express.urlencoded({extended: false}))
app.use(express.json())

 

Static.
Express의 기본 제공 미들웨어이며 Express 애플리케이션의 정적 자산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static이다. 이것을 이용하면 우리의 express에서도 이쁜 이미지, 신나는 동영상 같은 정적 파일은 제공할 수 있다.

app.use(express.static('public'));

 

Template engine.
템플릿 엔진을 사용하면 일관된 양식의 HTML 파일에다가 그때그때 원하는 데이터를 동적으로 삽입해서 우리가 원하는 형태의 홈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.

템플릿 엔진의 장점

  1. 많은 코드를 줄일 수 있다. → 대부분의 Template Engine은 기존의 HTML에 비해서 간단한 문법을 사용한다.
  2. 재사용성이 높다. → 웹페이지 혹은 웹앱을 만들 때 똑같은 디자인의 페이지에 보이는 데이터만 바뀌는 경우가 굉장히 많다.
  3. 유지보수에 용이하다. → 하나의 Template을 만들어 여러 페이지를 렌더링하는 작업에는 또 다른 이점이 있다.

템플릿 엔진 - ejs 설치.

$ npm install ejs

혹시 [ERROR] npm WARN text@1.0.0 No description | npm WARN text@1.0.0 No repository field 이런 식의 에러가 뜬다면 다음 블로그를 참조해서 package.json파일에 다음과 같이 "private": true, 를 입력해주면 설치가 잘 된다.

 

[ERROR] npm WARN text@1.0.. : 네이버블로그 (naver.com)

 

[ERROR] npm WARN text@1.0.0 No description | npm WARN text@1.0.0 No repository field

웹에 실시간 영상을 띄우는 개발을 하는 도중 node js를 다운로드 받아 cmd 창에서 실행하던 도중 만난 에...

blog.naver.com

 

app.set('views', __dirname + '/views');
app.set('view engine', 'ejs');

app.get('/test', (req, res) => {
  let name = req.query.name;
  res.render('test', {name});
})

render 하여 test 와 {name} 두 개의 인자를 넘겨준다.
이는 test.ejs를(html형태를) 그리고 그 ejs 파일에 name 값을 객체로 넘겨주겠다는 의미이다!!

그 후 views 폴더를 생성하고 test.ejs 파일을 추가하였다.

test.ejs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  <head>
  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 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  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      <title>Document</title>
  </head>
  <body>
      Hi. My name is <%= name %><br>
  </body>
</html>

http://localhost:3000/test?name=NyanNyan 이런식으로 입력하게 되면 
name 정보를 전달하여
Hi. My name is NyanNyan
을 띄우게 된다.

REST 
REST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는 월드 와이드 웹과 같으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한 형식이다.
웹에 존재하는 모든 자원(이미지, 동영상, DB 자원) 에 고유한 URL를 부여해 활용 하는 것으로, 자원을 정의하고 자원에 대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론.
https://velog.io/@meekukin/RESTful-API-4uk5rtheqv

 

RESTful API

image.png RESTful API란?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아키텍처의 한 형식이다. 웹에 존재하는 모든 자원(이미지, 동영상, DB 자원) 에 고유한 URI를 부여해 활용하는 것

velog.io

  1. 자원(Resource) - URL
    • 우리가 만들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모든 것을 자원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. 쇼핑몰이라면 상품(Goods)에 대해서 정보를 관리할것이고 또는 장바구니(Carts)에 담긴 상품들도 관리해야겠죠.
  2. 행위 - HTTP method
    • 이전에 배웠던 HTTP method 기억나시나요? GET, POST 등등이 있다고 했었는데요. 이것으로 해당 자원에 대한 행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GET 메소드는 해당 자원의 조회, POST 메소드는 해당 자원의 생성 이런 식으로요.
    • 이렇게 나누어진 것을 보통 CRUD 라고 합니다. 자원에 대한 생성/조회/수정/삭제를 각각의 method 로 나누어놓은 것이지요.Create : 생성(POST) Read : 조회(GET) Update : 수정(PUT) Delete : 삭제(DELETE)
    • 위 이미지의 예시처럼 쓰이는 것이 일반적인 method 사용방식입니다. 하지만 이것은 필수인 부분이 아니고 모든 곳에서 다 이렇게 지켜서 사용하지는 않습니다. 상황에 따라 저것을 완벽하게 지키기 어려운 부분들도 있으니 이 부분 참고 해주세요.
  3. 표현
    • 해당 자원을 어떻게 표현할지에 대한 설명입니다. 보통 JSON, XML 같은 형식을 이용해서 자원을 표현합니다.

DB.
데이터베이스란 데이터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관하고 가져다가 쓸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.

RDBMS(SQL)
행/열의 생김새가 정해진 엑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과 유사하다. 데이터 50만 개가 적재된 상태에서, 갑자기 중간에 열을 하나 더하기는 어렵다. 그러나, 정형화 되어 있는 만큼, 데이터의 일관성이나 분석에 용이하다.
ex) MS-SQL, My-SQL 등

No-SQL
딕셔너리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해두는 DB이다. 고로 데이터 하나하나 마다 같은 값들을 가질 필요가 없게 된다. 자유로운 형태의 데이터 적재에 유리한 대신, 일관성이 부족할 수 있다.

mongoose
mongoose 는 mongoDB에 연결하고 데이터 모델링을 제공해주는 툴이다.

npm install mongoose

api 추가하기. (내일로 이어짐 ㅠ)

goods route 생성

const goodsRouter = require("./routers/goods");
app.use("/api", [goodsRouter]);

 

+ Recent posts